티스토리 뷰

경매 꿀팁!!

감정가 대비 시세 확인하는 법

방구석요정 2025. 2. 26. 04:34
반응형

감정가 대비 시세 확인하는 법

경매에서 감정가는 법원이 정한 가격이지만,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시세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성공적인 낙찰을 위해 감정가와 시세를 비교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

1. 감정가란 무엇인가?

감정가: 법원이 감정평가사를 통해 산정한 경매 물건의 공식 가격
최저 입찰가: 감정가에서 유찰 횟수에 따라 낮아진 가격
시세: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으로 감정가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음


2. 감정가와 시세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

📌 시세보다 감정가가 낮은 경우

  • 감정 시점과 현재 시점의 시세 차이
  • 개발 호재로 인해 가격이 상승한 경우
  • 감정평가사가 보수적으로 산정한 경우

📌 시세보다 감정가가 높은 경우

  • 해당 물건의 상태가 예상보다 나쁨
  • 주변 환경 변화로 인해 가치 하락
  • 감정평가사가 과대평가한 경우

3. 시세를 확인하는 5가지 방법

1) 부동산 중개사이트 활용

✅ 네이버 부동산, 직방, 다방 등에서 동일 지역의 매물 확인
✅ 최근 거래된 매물의 가격을 비교

2)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조회 (https://rt.molit.go.kr)

✅ 해당 지역의 실제 거래된 가격 확인 가능
✅ 최근 1~2년간의 시세 변동 분석

3) 부동산 중개업소 방문 상담

✅ 지역 부동산 전문가에게 직접 상담
✅ 수요와 공급 현황, 거래 분위기 파악

4) 대법원 경매 사이트 활용 (http://www.courtauction.go.kr)

✅ 해당 경매 물건과 유사한 물건의 낙찰가 확인
✅ 유찰 횟수별 가격 변동 분석

5) 현장 방문 및 조사

✅ 건물 상태, 입지 조건 직접 확인
✅ 주변 주민 및 상인들에게 실제 시세 질문


4. 감정가 대비 적정 낙찰가 설정법

유찰 횟수가 2~3회 이상이면 감정가 대비 70% 이하로 낙찰 가능시세 대비 80~90% 선에서 입찰가를 설정하면 안정적인 투자 가능급매물 가격과 비교하여 입찰가를 조정재개발, 재건축 예정 지역이면 시세보다 높게 입찰할 가치가 있음


5. 감정가와 시세 분석 후 입찰 전략

📌 저평가된 물건 찾기: 감정가가 낮고 시세가 높은 물건 선정
📌 유찰을 기다려 최저 입찰가 낮추기: 2~3회 유찰된 물건 노리기
📌 경쟁이 적은 물건 선택: 인기 지역보다는 저평가된 지역 투자
📌 실거주용과 투자용 구분: 실거주 목적이면 안정적인 지역 선택


6. 결론

경매에서 감정가만 보고 입찰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. 정확한 시세 조사를 통해 감정가와의 차이를 분석하고, 적정한 낙찰가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위의 방법들을 활용하여 성공적인 경매 낙찰을 이루시길 바랍니다!

반응형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 more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